조화를 이룬‘희망’은 세상을 묶어주는 큰 울타리
페이지 정보
작성자 봉원사 댓글 0건 조회 3,604회 작성일 14-12-29 12:16본문
불기 2559년 을미년 봉원사 주지 및 영산재 보존회장 선암 스님 신년사
희망찬 을미(乙未)년 새해를 맞이하여 봉원사 사부대중과 불자님들 가정에 불은이 충만하고 부처님의 지혜와 자비가 늘 함께하길 기원하며 바라는 모든 소원이 원만하게 성취되기를 기원합니다.
항상 새해가 오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단어가 ‘희망’ 입니다. 희망이란 앞으로 다가올 일에 대한 기대감을 말합니다.
그 기대감은 신년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일 년 내내 여러분의 가슴과 머릿속에서 떠나지 말아야 합니다. 왜냐하면 기대감이 없어진다면 삶의 질 자체가 건조해지고 의미가 없어지기 때문입니다. 부처님의 공덕을 얻어 생활이 나아진다거나, 노력한 만큼 좋은 결과도 얻어야 하며, 잘될 것이라는 기대감으로 하는 일들에 더욱 정성을 쏟기도 합니다.
우리들에게는 부처님의 가르침과 그 가르침에서 나오는 희망과 용기가 있습니다.
부처님의 가르침 중 가장 알기 쉬운 것은‘자비 사상’입니다. 부처님의 가르침 중 가장 기본적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이‘자비’라는 것은 기본 전제로 ‘자타불이’ 정신의 구현이 있습니다. 연기설의 자각으로 내가 소중한 만큼 남도 소중하다는 가르침입니다. 이는 더 나아가 타인의 기쁨을 같이하고, 슬픔도 같이 하는 것입니다. 이는 사람과 사람사이의 문제뿐 아니라 살아서 존재하는 모든 것
이 대상입니다.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은 동일한 물질로 되어있다고 말합니다. 우리가 이야기 하는 원자가 바로 그것입니다. 존재하는 모든 것은 같은 원자의 다른 배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그것은 소멸했다고 해서 없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또 다른 배열로, 또 다른 존재로 다시 생성되는 것입니다.
세상을 이루고 있는 아주 작은 물질들은 불교에서 이야기 하는‘공’입니다. 윤회를 벗어난 아라한의 자리, 형태가 없어진 자리에 남은 정신의 세계, 그것이 바로 부처님의 세계이고 부처님의 가르침이 아닌가 합니다. 석가모니 부처님은 ‘능엄경’ 이나 ‘구사학’ 에서 ‘격유진(창문에 앉아 있는 먼지 입자)’을 말씀하셨고, 이 격유진을 뚫어 가면 갈수록 가늘고 세밀해진다고 말씀하십니다. 이는 미진, 극미진, 인허진, 공과 같은 불교의 궁극적인 목표로 나아가는 것입니다.
현대과학을 불교적으로 풀어보았듯이 우리의 존재는 전체를 이루는 한낱 ‘입자’ 에 불과한 것입니다. 입자는 존재가 혼자일 때 무의미해지며, 조화를 이루었을 때 형체가 비로소 생기는 것입니다. 우리가 사는 이 세상에서 우리의 존재는 나약하고 미미하지만 그것이 모여‘전체’가 되는 것임을 깨달아야 할 것입니다.
그 존재의 발현은 작고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희망이라는 공통의 배를 타고 나아갈 때 생겨나는 실체인 것입니다. 희망은 우리 모두의 인연을 묶어주는 하나의 울타리인 것입니다.
석가모니 부처님의 가르침은 바로 ‘희망’ 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선을 행하며 기도를 올린다는 것은 보다 나은 현실과, 보다 나은 내세를 위한 것입니다. ‘희망’ 이 없다면 불가능한 행동입니다.
새해가 밝았습니다. 우리에게‘희망’이란 무엇이고 무엇이‘희망’을 향한 자세이고 불성인가를 새삼 깨달아야 할 때입니다. 을미(乙未)년 한해 사부대중과 불자님의 가정에 불은이 가득하길 기원합니다.
희망찬 을미(乙未)년 새해를 맞이하여 봉원사 사부대중과 불자님들 가정에 불은이 충만하고 부처님의 지혜와 자비가 늘 함께하길 기원하며 바라는 모든 소원이 원만하게 성취되기를 기원합니다.
항상 새해가 오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단어가 ‘희망’ 입니다. 희망이란 앞으로 다가올 일에 대한 기대감을 말합니다.
그 기대감은 신년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일 년 내내 여러분의 가슴과 머릿속에서 떠나지 말아야 합니다. 왜냐하면 기대감이 없어진다면 삶의 질 자체가 건조해지고 의미가 없어지기 때문입니다. 부처님의 공덕을 얻어 생활이 나아진다거나, 노력한 만큼 좋은 결과도 얻어야 하며, 잘될 것이라는 기대감으로 하는 일들에 더욱 정성을 쏟기도 합니다.
우리들에게는 부처님의 가르침과 그 가르침에서 나오는 희망과 용기가 있습니다.
부처님의 가르침 중 가장 알기 쉬운 것은‘자비 사상’입니다. 부처님의 가르침 중 가장 기본적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이‘자비’라는 것은 기본 전제로 ‘자타불이’ 정신의 구현이 있습니다. 연기설의 자각으로 내가 소중한 만큼 남도 소중하다는 가르침입니다. 이는 더 나아가 타인의 기쁨을 같이하고, 슬픔도 같이 하는 것입니다. 이는 사람과 사람사이의 문제뿐 아니라 살아서 존재하는 모든 것
이 대상입니다.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은 동일한 물질로 되어있다고 말합니다. 우리가 이야기 하는 원자가 바로 그것입니다. 존재하는 모든 것은 같은 원자의 다른 배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그것은 소멸했다고 해서 없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또 다른 배열로, 또 다른 존재로 다시 생성되는 것입니다.
세상을 이루고 있는 아주 작은 물질들은 불교에서 이야기 하는‘공’입니다. 윤회를 벗어난 아라한의 자리, 형태가 없어진 자리에 남은 정신의 세계, 그것이 바로 부처님의 세계이고 부처님의 가르침이 아닌가 합니다. 석가모니 부처님은 ‘능엄경’ 이나 ‘구사학’ 에서 ‘격유진(창문에 앉아 있는 먼지 입자)’을 말씀하셨고, 이 격유진을 뚫어 가면 갈수록 가늘고 세밀해진다고 말씀하십니다. 이는 미진, 극미진, 인허진, 공과 같은 불교의 궁극적인 목표로 나아가는 것입니다.
현대과학을 불교적으로 풀어보았듯이 우리의 존재는 전체를 이루는 한낱 ‘입자’ 에 불과한 것입니다. 입자는 존재가 혼자일 때 무의미해지며, 조화를 이루었을 때 형체가 비로소 생기는 것입니다. 우리가 사는 이 세상에서 우리의 존재는 나약하고 미미하지만 그것이 모여‘전체’가 되는 것임을 깨달아야 할 것입니다.
그 존재의 발현은 작고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희망이라는 공통의 배를 타고 나아갈 때 생겨나는 실체인 것입니다. 희망은 우리 모두의 인연을 묶어주는 하나의 울타리인 것입니다.
석가모니 부처님의 가르침은 바로 ‘희망’ 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선을 행하며 기도를 올린다는 것은 보다 나은 현실과, 보다 나은 내세를 위한 것입니다. ‘희망’ 이 없다면 불가능한 행동입니다.
새해가 밝았습니다. 우리에게‘희망’이란 무엇이고 무엇이‘희망’을 향한 자세이고 불성인가를 새삼 깨달아야 할 때입니다. 을미(乙未)년 한해 사부대중과 불자님의 가정에 불은이 가득하길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