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적인 삶 > 불교입문

본문 바로가기
불교입문

불교적인 삶

페이지 정보

작성자 난~자연인 댓글 0건 조회 3,728회 작성일 70-01-01 09:33

본문

▒ 불교적인 삶

자기 완성만이 아니라 나와 남이 함께 깨달아 이 세상을 불국정토로 만드는 것이 불교의 궁극적인 목적입니다. 이는 바른 믿음과 생활 속의 바른 행을 중요시 하는 것입니다. 부처님께서는 불자로서 지켜야 할 실천덕목으로 오계(五戒)를 말씀하셨습니다.

산 목숨을 죽이지 말라(不殺生)
주지 않는 것을 갖지 말라(不偸盜)
삿된 음행을 하지 말라(不邪淫)
거짓말을 하지 말라(不妄語)
음주를 하지 말라(不飮酒)

오계는 모든 악 가운데서도 가장 대표적인 다섯 가지 악업을 짓지 말라는 것입니다. 여기서 ꡐ하지 말라ꡑ는 것은 금지만을 뜻하는 것이 아닙니다. 오계는 오히려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실천이 전제되어 있는 것입니다. ꡐ산 목숨을 죽이지 말라ꡑ는 경우 모든 생명은 불성을 가진 고귀한 존재이니 본래 이 ꡐ산 목숨을 죽이지 말라ꡑ는 것입니다.

옛날 자비심이 지극한 왕이 매에게 쫓겨 피해온 비둘기 대신 자신의 살점을 뜯어 주었다는 자비심이야 말로 ꡐ산 목숨을 죽이지 말라ꡑ는 실천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공동의 사회 생활을 하는 우리들이 악을 범하지 않고 선을 실천함으로써, 서로를 존중하고 아끼며 평화롭게 살아가는 삶의 터전을 이룩하려는 것이 이 오계의 목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부처님께서도 계를 스승으로 삼으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또한 가장 안온한 공덕이 계에 머물고 있기 때문에, 청정한 계를 가지면 괴로움을 없애는 지혜와 선정의 온갖 공덕을 얻을 수 있습니다.

우리는 오계의 가르침을 자신의 삶에 실천하도록 해야 합니다. 즉 일상적인 삶 하나하나에서 부처님의 가르침을 실행하여 다른 사람과 더불어 이 세상을 살고 있음을 알아야 합니다.

우리는 반가운 이, 그리운 이를 만나면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예(禮)로써 그 뜻을 표합니다. 불교에서는 스님 또는 법우를 만나게 되면 합장으로 예를 표합니다. 열 손가락을 가지런하게 하고 양 손바닥을 맞대어 흩어진 마음과 생각을 집중합니다.

이렇게 다소곳이 고개 숙여 합장하는 마음이 바로 믿음의 출발입니다. 큰 절이 아니더라도 합장은 나의 마음을 뜻하며, 더 나아가 너와 나의 마음이 하나의 진리 위에 서로 만났음을 뜻하는 동시에 존경과 진실과 자비의 마음을 뜻합니다. 그리고 절을 하고 합장을 하는 의식 속에는 자신을 낮추고 덕 높은 스님, 부처님께 귀의한다는 마음이 담겨 있습니다. 또한 수행의 방법으로 매일 백 팔배를 하면, 항상 교만심을 버리고 하심(下心)을 하여 남에게 성내지 않고 좋은 태도를 가지게 됩니다. 그리고 공양 전후에 언제나 합장하며 ꡐ이 음식에 깃들인 모든 이의 공덕을 생각하며 감사히 먹겠습니다.ꡑ라고 읊조릴 때 자신을 있게 해 준 모든 이들에게 감사하는 마음을 가지게 되므로 다른 사람에게 해로운 일을 한다는 것은 어려워 질 것입니다.

그리고 불공(佛供)을 할 때도 부처님을 따르는 자세를 가져야 합니다. 불공을 올림은 일체 중생을 고통으로부터 구제하시고 어리석음을 깨우쳐 주시며 열반의 길로 인도하시는 부처님의 은혜에 보답하는 마음의 표시입니다. 또한 부처님께 공양을 올린다는 것은 모든 중생에게 회향한다는 뜻도 담겨 있기에 모든 중생의 은혜를 갚는 일이기도 합니다. 더 나아가 우리의 이웃에게 따뜻한 마음씨를 베품도 부처님의 가르침을 따르는 것이기에 부처님께 공양을 올리는 것과 다름이 없으며 이 세상을 더욱 맑고 청정하게 하는 것입니다.

부처님 앞에서 발원을 할 때도 자신의 욕망과 이익을 성취하기 위한 것보다는 모든 중생의 이익과 행복을 위하여 하여야 합니다. 아울러 모든 번뇌를 여의고 하루 빨리 부처님의 법을 익혀 깨닫도록 발원함이 참다운 불자의 발원입니다. ꡐ언제 어느 곳에서든 고통과 괴로움에 빠진 중생이 나를 부를 때는 반드시 그곳에 가서 구해내리라.ꡑ는 관세음보살의 발원과 지옥에 있는 중생들을 모두 구하기 전에는 결코 성불하지 않겠다는 지장보살의 발원이야말로 참다운 발원인 것입니다. 현실에서 중생의 아픔을 함께 하며, 고통을 덜어 주고자 커다란 원을 세우고 자신을 아끼지 않고 실행해 가는 것이 참다운 불자의 모습인 것입니다.

이처럼 불자의 수행은 작은 일에서부터 시작하는 것입니다. 만나는 이에게 머리를 숙이고 합장하는 모습, 공양을 하면서 이웃을 생각하고, 불공이나 발원을 하면서도 자신보다는 더불어 사는 세상을 생각하는, 주위 사람을 부처님이나 스님들을 공경하듯 하는, 이한 자세가 마음에서 우러나와 행해져야 하는 것입니다.

또한 나 뿐만 아니라 주위 사람들도 더불어 이런 자세를 간직할 때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화합의 정신이 실현되는 것입니다. 이런 자세로 가족끼리 사랑하고 화목을 이루며 넓게는 이웃과 더불어 생각하며 살아갈 때, 마른 풀이 수미산 같이 쌓여 있더라도 겨자씨 만한 불똥 하나로 다 태울 수 있듯이 우리들의 조그마한 신행의 촛불이 온갖 더러움을 태우고 불국정토의 세계를 이 땅에 구현할 수 있을 것입니다.
Total 58건 2 페이지
불교입문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43
난~자연인
4558 1970-01-01
42
난~자연인
4545 1970-01-01
열람
난~자연인
3729 1970-01-01
40
난~자연인
4772 1970-01-01
39
류인숙
3287 1970-01-01
38
류인숙
3966 1970-01-01
37
류인숙
3255 1970-01-01
36
류인숙
3299 1970-01-01
35
류인숙
3415 1970-01-01
34
류인숙
3417 1970-01-01
33
류인숙
3269 1970-01-01
32
류인숙
3199 1970-01-01
31
류인숙
4216 1970-01-01
30
류인숙
3198 1970-01-01
29
류인숙
3135 1970-01-01
게시물 검색

회원로그인


n

봉원사 / 주소 : 03721 서울 서대문구 봉원사길 120 (봉원동, 봉원사)
대표전화 02)392-3007~8 / 팩스 02)393-9450
E-MAIL : jinsun5725@nate.com(종무소)
COPYRIGHT (C) bongwonsa.or.kr, ALL RIGHTS RESERVED.
봉원사 / 주소 : 03721 서울 서대문구 봉원사길 120 (봉원동, 봉원사)
대표전화 02)392-3007~8 / 팩스 02)393-9450 / E-MAIL : jinsun5725@nate.com(종무소)
COPYRIGHT (C) bongwonsa.or.kr, ALL RIGHTS RESERVED.
브라우저 : Edge / Firefox / Chrome / Safari PC 최적해상도는 1920×1080화소 이며 최소 화면해상도는 1440×900화소 이상을 권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