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고종
페이지 정보
작성자 댓글 0건 조회 2,134회 작성일 10-12-15 16:24본문
태고보우국사(太古普愚國師 1301~1382)의 행장
태고보우국사(太古普愚國師)는 고려 말의 고승으로 석가세존 제57대손이며 임제정맥(臨濟正脈) 제19대 적손이다. 태고는 호(號), 보우(普愚)는 휘(諱)이고, 법명은 보허(普虛)다. 태고보우국사는 고려 충렬왕 27년(1301) 9월 21일 경기도 양근에서 개부의동삼사주국 문하시중판리병부사 홍주(洪州) 홍씨(洪氏) 연(延)을 아버지로, 삼한국대부인(三韓國大夫人) 정(鄭)씨를 어머니로 하여 태어났다. 어머니의 꿈에 해가 품안에 들어오는 태몽이 있었다고 하며, 어려서부터 매우 총명하고 기골이 준수해 법왕아(法王兒)라 불렸다.
13세(충성왕 5) 때 양주 회암사(檜巖寺)에서 광지선사(廣智禪師)를 스승으로 득도하고, 19세(충숙왕 6) 때 가지산문(迦智山門)의 총림인 보림사(寶林寺)에서 「만법귀일 일귀하처(萬法歸一 一歸何處)」의 화두로서 선지(禪旨)를 참구했으며, 교학연구에도 힘을 써 26세 때 화엄선(華嚴選)에 합격했다. 30세 때 출가장부의 큰 서원을 세워 대도를 성취하고 교계와 사회의 정화에 심신을 바치고자 용문산 상원암에서 관세음보살님께 기도를 올리면서 12가지의 큰 서원을 세웠다.
33세(충숙왕 복위2) 때 일대사인연을 성취하지 못하면 죽음도 사양하지 않겠다는 굳은 각오로 성서(城西) 감로사(甘露寺)에서 7일 동안 먹지도 않고 잠자지도 않으며 용맹정진한 끝에 지혜가 크게 열리었다. 37세(충숙왕 복위6) 때 불각사(佛脚寺)에서 원각경(圓覺經)을 읽다가 "일체진멸 명위부동(一切盡滅 名爲不動, 일체가 모두 멸한 그것을 일러 부동이라 한다)"이라는 구절에 이르러 모든 지해(知解)를 타파했고, 38세 때 전단원(栓檀園)에서 조주(趙州)의 무자화두(無字話頭)로 의문을 크게 타파해 마침내 견성오도했다.
그후 고향 양근으로 돌아가 부모님께 효성을 다했으며, 41세(충혜왕 복위 2)때 삼각산 중흥사(重興寺)의 주지로 있으면서 후학들을 지도하였고 절 동쪽에 태고암(太古庵)을 짓고 오랫동안 주석했다. 46세(충목왕 2) 때 중국으로 건너가 2년여 동안 수행하던 중 원나라 황제로부터 특별한 우대를 받아 몇 차례 법회를 주관했으며, 특히 임제선사의 18대 법손으로 당시 중국에서 으뜸가는 고승인 석옥청공(石屋淸珙)선사(禪師)를 만나 심계(心契)를 얻었다. 이로부터 우리나라 임제의 정맥이 계승되었다.
48세(충목왕 4) 때 본국으로 돌아온 이후에는 미원(迷源,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소설산(小雪山)에 들어가 몸소 밭을 경작하며 정진수행했다. 52세 때 공민왕의 부름을 받아 경용사에 주석했으며, 56세(공민왕 5)때 봉은사(奉恩寺)에서 개당(開堂)하였다. 그때 왕은 만수가사와 좌구·수정염주·침향과 불자(拂子)를 올리고 왕사로 모셨다. 이어 광명사(廣明寺)에 머물면서 원융부(圓融府)를 설치하고 구산선문(九山禪門)의 통일을 모색했다.
71세 때인 1371년(공민왕 20)에 국사(國師)가 되어 영원사(瑩原寺)에 있었다. 그 뒤 양산사(陽山寺)로 옮겼으며, 81세 때 우왕에 의해 다시 국사로 책봉되는 등 왕사로서 16년 국사로서 12년 동안 봉직하다가 82세 때인 1382년(우왕 8) 12월 24일 세연을 마치니 세수 82세요 법랍 69세였다. 시호는 원증(圓證), 탑호는 보월승공(寶月昇空)이라고 했다. 저술로는《태고화상어록(太古和尙語錄)》2권이 현존하며, 시문집《태고유음(太古遺音)》등이 있다.
태고보우국사(太古普愚國師)는 고려 말의 고승으로 석가세존 제57대손이며 임제정맥(臨濟正脈) 제19대 적손이다. 태고는 호(號), 보우(普愚)는 휘(諱)이고, 법명은 보허(普虛)다. 태고보우국사는 고려 충렬왕 27년(1301) 9월 21일 경기도 양근에서 개부의동삼사주국 문하시중판리병부사 홍주(洪州) 홍씨(洪氏) 연(延)을 아버지로, 삼한국대부인(三韓國大夫人) 정(鄭)씨를 어머니로 하여 태어났다. 어머니의 꿈에 해가 품안에 들어오는 태몽이 있었다고 하며, 어려서부터 매우 총명하고 기골이 준수해 법왕아(法王兒)라 불렸다.
13세(충성왕 5) 때 양주 회암사(檜巖寺)에서 광지선사(廣智禪師)를 스승으로 득도하고, 19세(충숙왕 6) 때 가지산문(迦智山門)의 총림인 보림사(寶林寺)에서 「만법귀일 일귀하처(萬法歸一 一歸何處)」의 화두로서 선지(禪旨)를 참구했으며, 교학연구에도 힘을 써 26세 때 화엄선(華嚴選)에 합격했다. 30세 때 출가장부의 큰 서원을 세워 대도를 성취하고 교계와 사회의 정화에 심신을 바치고자 용문산 상원암에서 관세음보살님께 기도를 올리면서 12가지의 큰 서원을 세웠다.
33세(충숙왕 복위2) 때 일대사인연을 성취하지 못하면 죽음도 사양하지 않겠다는 굳은 각오로 성서(城西) 감로사(甘露寺)에서 7일 동안 먹지도 않고 잠자지도 않으며 용맹정진한 끝에 지혜가 크게 열리었다. 37세(충숙왕 복위6) 때 불각사(佛脚寺)에서 원각경(圓覺經)을 읽다가 "일체진멸 명위부동(一切盡滅 名爲不動, 일체가 모두 멸한 그것을 일러 부동이라 한다)"이라는 구절에 이르러 모든 지해(知解)를 타파했고, 38세 때 전단원(栓檀園)에서 조주(趙州)의 무자화두(無字話頭)로 의문을 크게 타파해 마침내 견성오도했다.
그후 고향 양근으로 돌아가 부모님께 효성을 다했으며, 41세(충혜왕 복위 2)때 삼각산 중흥사(重興寺)의 주지로 있으면서 후학들을 지도하였고 절 동쪽에 태고암(太古庵)을 짓고 오랫동안 주석했다. 46세(충목왕 2) 때 중국으로 건너가 2년여 동안 수행하던 중 원나라 황제로부터 특별한 우대를 받아 몇 차례 법회를 주관했으며, 특히 임제선사의 18대 법손으로 당시 중국에서 으뜸가는 고승인 석옥청공(石屋淸珙)선사(禪師)를 만나 심계(心契)를 얻었다. 이로부터 우리나라 임제의 정맥이 계승되었다.
48세(충목왕 4) 때 본국으로 돌아온 이후에는 미원(迷源,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소설산(小雪山)에 들어가 몸소 밭을 경작하며 정진수행했다. 52세 때 공민왕의 부름을 받아 경용사에 주석했으며, 56세(공민왕 5)때 봉은사(奉恩寺)에서 개당(開堂)하였다. 그때 왕은 만수가사와 좌구·수정염주·침향과 불자(拂子)를 올리고 왕사로 모셨다. 이어 광명사(廣明寺)에 머물면서 원융부(圓融府)를 설치하고 구산선문(九山禪門)의 통일을 모색했다.
71세 때인 1371년(공민왕 20)에 국사(國師)가 되어 영원사(瑩原寺)에 있었다. 그 뒤 양산사(陽山寺)로 옮겼으며, 81세 때 우왕에 의해 다시 국사로 책봉되는 등 왕사로서 16년 국사로서 12년 동안 봉직하다가 82세 때인 1382년(우왕 8) 12월 24일 세연을 마치니 세수 82세요 법랍 69세였다. 시호는 원증(圓證), 탑호는 보월승공(寶月昇空)이라고 했다. 저술로는《태고화상어록(太古和尙語錄)》2권이 현존하며, 시문집《태고유음(太古遺音)》등이 있다.
관련링크
- http://taego.kr 2478회 연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